Article

봄철 산란계사 사육형태별 미세먼지 및 암모니아 농도 비교

홍의철1,https://orcid.org/0000-0003-1982-2023, 강보석2https://orcid.org/0000-0002-3438-8379, 강환구1https://orcid.org/0000-0002-4286-3141, 전진주1https://orcid.org/0000-0001-7585-4746, 유아선1https://orcid.org/0000-0001-7258-2626, 김현수1https://orcid.org/0000-0001-8887-1318, 손지선1https://orcid.org/0000-0002-5285-8186, 김희진3https://orcid.org/0000-0002-6959-9790, 윤연서4https://orcid.org/0000-0001-6950-0415
Eui-Chul Hong1,https://orcid.org/0000-0003-1982-2023, Bo-Seok Kang2https://orcid.org/0000-0002-3438-8379, Hwan-Ku Kang1https://orcid.org/0000-0002-4286-3141, Jin-Joo Jeon1https://orcid.org/0000-0001-7585-4746, Are-Sun You1https://orcid.org/0000-0001-7258-2626, Hyun-Soo Kim1https://orcid.org/0000-0001-8887-1318, Jiseon Son1https://orcid.org/0000-0002-5285-8186, Hee-Jin Kim3https://orcid.org/0000-0002-6959-9790, Yeon-Seo Yun4https://orcid.org/0000-0001-6950-0415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농업연구사
2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농업연구관
3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박사후연구원
4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연구원
1Researcher, Poultry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Pyeongchang 25342, Republic of Korea
2Senior Researcher, Poultry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Pyeongchang 25342, Republic of Korea
3Post-Doctor Researcher, Poultry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Pyeongchang 25342, Republic of Korea
4Field Researcher, Poultry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Pyeongchang 25342, Republic of Korea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 drhong@korea.kr

© Copyright 2021,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25, 2021; Revised: Aug 31, 2021; Accepted: Sep 23, 2021

Published Online: Sep 30, 2021

적요

본 연구는 산란계사 사육형태별 봄철의 미세먼지(PM) 및 암모니아(NH3) 배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평사, Aviary 그리고 Cage 계사에서 미세먼지 및 암모니아 농도를 3∼5월 동안 2주 간격으로 3회(24시간/회) 측정하였다. PM10과 PM2.5 농도는 24시간 동안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22:00부터 04:00까지 낮게 나타났다. 평사와 케이지 계사의 PM(PM10, PM2.5) 농도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일일 편차도 심하게 보이지 않았다. 평사 계사에서는 중앙과 끝에서 24시간 동안 측정한 NH3 농도가 일정하게 나타났다. 측정 위치와 관계없이 평사에서 NH3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평사와 Aviary 계사에서는 중앙보다 끝에서 측정된 NH3 농도가 더 높았으나, 케이지 계사에서는 끝에서 측정된 NH3 농도가 더 낮았다. 계사 주변의 PM10과 PM2.5 농도는 각각 57.5 μg/m3와 34.0 μg/m3이었다. 일평균 PM10과 PM2.5 농도는 Aviary 계사에서 4,730 μg/m3와 447.7 μg/m3로 가장 높았다. 계사 중앙과 끝의 NH3 농도는 케이지 계사에서 12.0 ppm과 9.31 ppm으로 가장 높았다. PM10과 PM2.5의 배출계수는 케이지에서 가장 낮았으며, NH3의 배출계수는 가장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PM(PM10, PM2.5) 농도는 Aviary 계사에서, NH3 농도는 Cage 계사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PM) and NH3 emissions from different types of laying hens poultry houses during spring. The concentrations of PM and NH3 were measured three times (2-week intervals; March to May) in Floor-pen-, Aviary-, and Cage-type poultry houses. Overall,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be low from 22:00 to 04:00. Th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Floor-pen and Cage houses were similar with no significant daily deviation. NH3 concentrations measured over 24 h at the center and end of Floor-pen house were relatively constant. Irrespective of measurement location, NH3 concentrations were the lowest in Floor-pen house. Moreover, NH3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the end of Floor-pen and Aviary houses than that at the center; however, lower concentrations of NH3 were detected at the end of Cage house. The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around the poultry houses were 57.5 and 34.0 μg/m3, respectively, with the daily averag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4,730 and 447.7 μg/m3, respective) being the highest in Aviary house. The concentrations of NH3 at the center and end of Cage house were the highest at 12.0 and 9.31 ppm, respectively. Furthermore, in Cage house, the emission factor of NH3 was the lowest,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at of NH3. In conclusion, among the three types of poultry houses assessed, PM (PM10, PM2.5)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Aviary house, whereas NH3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Cage house.

Keywords: 산란계; 사육형태; 미세먼지; 암모니아; 봄철
Keywords: laying hen; rearing type; particulate matter; ammonia; spring

서 론

우리나라의 봄철은 가끔씩 뿌연 하늘을 볼 정도로 황사나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가 심하게 발생하는 계절로써, 정부의 대기오염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황사나 PM 발생은 지속되고 있다. PM은 입자 크기에 따라 직경이 100 μm 이하인 총 부유 입자(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직경이 10 μm 이하인 PM10 그리고 직경이 2.5 μm 이하인 PM2.5으로 정의할 수 있다(Bonifacio et al., 2015).

축사에서 배출되는 PM의 성분은 발생원이 다양하기 때문에 대기의 PM 수준과 차이가 있으며(Shen et al., 2018), 주로 사료, 분변, 깃털 및 피부에서 생성되는 고농도의 유기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Mostafa, 2012; Mostafa et al., 2016). Donham et al.(1986)Radon et al.(2001)은 축사 내부의 PM(특히 PM2.5)는 호흡기를 통해 폐포로 침투하기 때문에 가축과 관리자의 호흡기 건강에 좋지 않다고 하였다. 또한, Yang et al.(2017)은 계사 내부에서 배출되는 PM에는 수많은 병원성 박테리아가 번식하고 있다고 하였다. PM10 농도가 높아지면 가축뿐만 아니라 관리자들에게도 만성 기관지염, 천식 유사 증상, 심혈관 질환, 폐렴 및 폐암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Cambra-López et al., 2010; Michiels et al., 2015).

따라서, 축사 내 PM이 가축과 관리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주요 배출원을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조사된 내용들은 가축 생산 과정에서 PM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Shen et al., 2018). 축사 주변 대기오염의 또 다른 주요 원인은 미생물에 의한 분변의 분해로 생성되는 NH3이며, 호흡기, 눈, 비강 및 피부 등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Kearney et al., 2014; Nemer et al., 2015). 또한, 계사에서 배출되는 NH3는 가금류의 생산성과 복지를 저하시키며(Kristensen and Wathes, 2000; Fabbri et al., 2007), 25 ppm 이상일 때, 일일 증체량이 감소하고 사료요구율이 증가한다(Becker et al., 2004; Miles et al., 2006). 다량의 NH3는 습도가 높은 환경 조건에서 NH4+와 같은 2차 무기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Robarge et al., 2002).

NH3가 중간생성물과 반응 인자와 결합하여 PM2.5로 생성되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대략 5년 전부터 수행되어 왔 다(ME, 2016). Shin et al.(2017)은 계사 외부로 배출된 NH3가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및 오존과 반응하여 황산암모늄이나 질산암모늄과 같은 PM2.5를 생성한다고 하였다. MAFRA(2019)에서는 NH3 가스의 82.3%가 농업 분야(특히 축산 분뇨)에서 배출된다고 하였다. 국외 연구에서도 집약적 축사가 증가함에 따라 축사에서 배출되는 NH3 및 PM가 대기 오염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으며(Roumeliotis and Van Heyst, 2007; Shen et al., 2018), Takai et al.(1998)Kaasik and Maasikmets(2013)은 유럽의 축산 농가에서 배출되는 PM10과 PM2.5는 각각 8%와 4%를 차지하고 있고, 집약적 양계장은 총 농업용 PM 배출량의 약 50%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외국의 경우, 다양한 축산 분야에서 발생하는 NH3 농도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계사의 사육형태별로 발생하는 NH3 및 PM(PM10, PM2.5) 농도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David et al., 2015; Shepherd et al., 2015; Zhao et al., 2015; Shepherd et al., 2017), 국내에서는 악취 방지를 위하여 양돈 슬러리에서 발생하는 NH3 농도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Lee et al., 2006). 최근, 정부에서는 국내 축산 분야에서 축종별 및 사육형태별로 NH3 농도나 PM(PM10, PM2.5) 농도를 측정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배출되는 NH3와 PM의 인벤토리(inventory) 구축을 추진 중이다(MAFRA, 2019).

본 연구는 산란계사 사육형태별 PM 및 NH3의 발생특성 구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로서, 환절기(가을)와 동절기에 이어 봄철의 NH3와 PM(PM10, PM2.5) 농도를 조사하여 산란계사 사육형태별로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1. 시험설계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의 세 가지 사육시스템(평사, Aviary, 케이지) 계사 내부 및 계사 주변(5 m 이내)에서 PM(PM10, PM2.5)과 NH3 농도를 측정하였다. 계사 내부의 온도는 각각 16.4℃, 18.9℃ 및 17.5℃로 관리되었으며, 습도는 46.4%, 46.5% 및 25.3%로 케이지에서 낮게 관리되었다. 계사의 환기 시스템은 모두 터널식 환기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계사 주변의 PM 농도는 계사의 옆 벽을 기준으로 5 m 위치에서 측정하였다.

사육형태별 계사의 사육 환경과 환기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Information on in-house bird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different types of poultry houses where ai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spring season
Items Floor-pens Aviary Cage
House size in meters (W x L x H) 10 x 42 x 5 15 x 39 x 3.5 8 x 106 x 8
Population (birds) 293 2,411 3,000
Age (wk) 48-54 48-54 48-54
Temperature (’C)
   Max 17.3 20.0 19.3
   Mm 15.4 17.7 15.7
   Average 16.4 18.9 17.5
Humidity (%)
   Max 50.7 53.7 25.0
   Mm 42.0 39.3 25.0
   Average 46.4 46.5 25.0
Download Excel Table
2. PM 및 NH3 측정

본 연구에서 PM과 NH3 농도는 봄(3∼4월)에 2주 간격으로 3회씩(24시간/회) 측정되었다. PM 측정은 Environmental Dust Counter (EDM164, GRIMM Aerosol Technik Co., Germany)를 이용하였으며, NH3는 암모니아 가스 측정기(MultiRAE, RAE Systems Inc., USA)로 측정하였다. 측정 위치는 Hong et al.(2021a)의 연구와 같이 PM은 계사의 끝에서, NH3는 계사의 중앙과 끝에 1 m 높이에서 측정하였다. 세 가지 사육시스템별 계사의 환경과 사육 형태는 Table 1과 2에 나타내었다.

3. PM 및 NH3의 배출계수 산정

본 연구에서 측정된 PM 및 NH3의 배출계수는 계사의 끝에서 측정한 PM 및 NH3 농도를 이용하여 다음 공식에 의해 산정되었으며, 1년 동안 산란계 1수가 배출하는 값으로 나타내었다.

    ( g / yr ) =       ×         × 365 (  
4. 자료분석 및 배출계수

본 연구의 PM(PM10, PM2.5)과 NH3 농도는 30분 간격으로 그래프에 나타내었으며, 일일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측정 지역 대기의 미세먼지 농도는 ME(2021)에서 제시한 미세먼지 농도로 제시하였다. 일평균 PM(PM10, PM2.5)과 NH3 농도를 계사 주변 측정값 및 대기 농도와 비교하였다.

배출계수 자료는SAS(2019)의 Generation Linear Model (GLM) procedur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Duncan의 다중 검정(Duncan, 1955)을 이용하여 각 처리구 간의 평균값을 95% 신뢰수준에서 검정하였다.

Table 2. Ventilation systems in different types of poultry houses where ai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spring season
Items Floor-pens Aviary Cage
Ventilation type Tunnel Tunnel Tunnel
Fan numbers (Total / operation)
   First 4/2 4/2 7/5
   Second 4/2 4/3 7/5
   Third 4/2 4/3 7/6
Operation time (Operation / stop)
   First 20/280 35/265 100/200
   Second 25/275 70/230 100/200
   Third 25/275 70/230 120/180
Capacity (cfm)
   First 5,066 8,866 7,066
   Second 6,333 12,666 12,666
   Third 6,333 12,666 20,266
Download Excel Table

결 과

1. 사육형태별 PM(PM10, PM2.5) 농도

본 연구에서 24시간 동안 측정된 산란계사 사육형태별 PM(PM10, PM2.5) 농도는 Fig. 1에 나타내었다. PM10과 PM2.5 농도는 24시간 동안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22:00부터 04:00까지 낮게 나타났다. Aviary 계사의 경우, 22:00∼04:00 외의 시간대에서는 PM10과 PM2.5 농도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평사와 케이지 계사의 PM(PM10, PM2.5) 농도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일일 편차도 심하게 보이지 않았다.

kjps-48-3-151-g1
Fig. 1. Aspects of PM concentrations by different rearing types for 24 h (average of 3 times) in spring; (a) PM10, (b) PM2.5. PM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with the PM counter at the end of three rearing types of laying hen house.
Download Original Figure
2. 사육형태별 NH3 농도

본 연구에서 24시간 동안 측정된 산란계사 사육형태별 NH3 농도는 Fig. 2에 나타내었다. 평사에서는 계사 중앙과 끝에서 24시간 동안 측정한 NH3 농도가 일정하게 나타났다. Aviary 계사에서는 24시간 동안 중앙에서 측정한 값과 끝에서 측정한 값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14:00부터 20:00까지 낮게 나타났다. 계사의 중앙과 끝에서 측정한 값을 사육형태별로 비교하였을 때, 측정 위치와 관계없이 평사 계사에서 NH3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Aviary 계사에 비해 케이지 계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kjps-48-3-151-g2
Fig. 2. Aspects of NH3 concentrations by different rearing types for 24 h (average three times) in spring; (a) Center, (b) End (Near of the ventilation fan). NH3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with the NH3 analyzer in the center and at the end of three rearing types of laying hen house.
Download Original Figure

사육형태별로 계사의 중앙과 끝의 24시간 NH3 농도 변화는 Fig. 3에 나타내었다. 세 가지 계사 모두 중앙과 끝에서 측정된 값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평사와 Aviary 계사에서는 중앙보다 끝에서 측정된 농도가 더 높았으나, 케이지 계사에서는 중앙에서 측정된 NH3 농도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kjps-48-3-151-g3
Fig. 3. Comparison of NH3 concentrations between center and end of poultry houses by different rearing types for 24 h in spring; (a) floor-pen, (b) aviary, (C) cage. NH3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with the NH3 analyzer in the middle and at the end of three rearing types of laying hen house.
Download Original Figure
3. 일평균 PM(PM10, PM2.5) 및 NH3 농도

본 연구에서 측정된 산란계 사육형태별 일평균 PM(PM10, PM2.5)과 NH3 농도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ME(2021)에서 제시한 봄철 대기의 PM10과 PM2.5 농도는 각각 44.6 μg/m3과 13.2 μg/m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측정한 계사 주변의 농도는 각각 57.5 μg/m3와 34.0 μg/m3이었다.

Table 3. Daily emission of particulate matter (PM10, PM2.5) and ammonia (NH3) in different types of poultry houses
Poultry' Houses PM (fig/m3) NH3 (ppm)1
PM10 PM2.5 Center End
Atmosphere2 44.6 13.2
Outside 57.5 34.0 - -
Floor-pens
First 1,147 94.3 0.51 1.08
Second 796.6 75.5 0.82 0.96
Hurd 866.3 65.6 0.92 0.98
Means 936.7 78.5 0.75 1.01
Aviary
First 2,964 353.5 5.31 5.76
Second 7,225 600.8 8.65 9.20
Tlnrd 4,001 388.6 6.76 7.59
Means 4,730 447.7 6.90 7.52
Cage
First 274.2 53.1 14.0 10.1
Second 350.1 71.4 19.4 12.9
Tlnrd 311.0 61.2 2.67 4.88
Means 311.8 61.9 12.0 9.31

1 Measurement location of NH3.

2 Daily PM concentration of atmosphere (ME, 2021).

2 PM, particulate matter; PM10, particulate matter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0 μm; PM2.5, particulate matter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Download Excel Table

일평균 PM10과 PM2.5 농도는 Aviary 계사에서 4,730 μg/m3와 447.7 μg/m3로 가장 높고, 케이지 계사에서 311.8 μg/m3와 61.9 μg/m3로 가장 낮았다. 반면, 계사 중앙과 끝의 NH3 농도는 케이지 계사에서 12.0 ppm과 9.31 ppm으로 가장 높고, 평사 계사에서 0.71 ppm과 1.01 ppm으로 가장 낮았다.

4. PM(PM10, PM2.5) 및 NH3 배출계수

본 연구에서 산정된 PM 및 NH3의 배출계수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PM10과 PM2.5의 배출계수는 케이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NH3의 배출계수는 케이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평사와 Aviary 시스템 사이의 배출계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4. Emission factor (EF) of particulate matter (PM10, PM2.5) and ammonia (NH3) in different types of poultry houses
Poultry houses PM10 (kg/y/bird) PM2.5 (g/y/bird) NH3 (kg/y/bird)
Floor-pen 0.19a 15.62a 0.20
Aviary 0.24a 20.93a 0.35
Cage 0.03b 6.17b 0.43
SEM1 0.041 3.755 0.131
P-Value <0.05 <0.05 0.1854

1 Standard error of means.

a,b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0.05).

Download Excel Table

고 찰

본 연구는 봄철에 계사 내 발생하는 PM 농도를 측정하고, 계사 외기의 농도와 비교하였다. 특히, 2018년과 2019년에 축사에서 발생하는 NH3가 국내 PM2.5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언론 보도로 인하여 계사 내 발생하는 PM(특히 PM2.5)과 NH3 농도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NH3는 질산이나 황산과 결합하여 PM2.5를 생성하기 때문에 계사 내 NH3와 PM2.5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상당히 중요하다. Hong et al.(2021b)은 같은 시간대의 NH3와 PM2.5 농도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Hong et al.(2021a, b) 및 본 연구의 일일 평균값을 보았을 때, NH3 농도가 높을수록 PM2.5 농도도 높게 나타나 하루 기준으로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온도, 상대습도, 환기율 및 점등과 같은 변수들은 축사에서 PM 및 NH3 농도와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Puma et al., 1999). 계사의 환기는 PM의 형성, 농도, 배출, 분포뿐만 아니라, 내부의 온․습도, 닭의 체감 온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Shen et al., 2018), 온․습도 조절 및 유해가스(PM, NH3 등)를 계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도 3차례 측정 시에 환기량이 변화되면서 측정되는 PM 및 NH3 농도도 같이 변화되었다. 이는 겨울철에서 봄철로 계절이 바뀌면서 계사 내부의 온․습도도 변화됨에 따라 환기량이 조절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현장 조건에서 계사의 환기 평가는 실내 환경뿐 아니라, 정부 규정에 따른 오염 물질 배출에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동물보호법에서는 국내 축사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농도를 25 ppm이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환기 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계사의 방향과 크기, 단열재, 닭의 수, 최소 환기 등이다. 특히 최소 환기는 겨울철에 차가운 공기가 계사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감소시켜 호흡기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나, 환기량이 적어 환기 불량이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사와 Aviary 계사의 PM(PM10, PM2.5) 및 NH3 농도의 1차 측정 시에는 봄철의 꽃샘추위로 인하여 최소 환기를 유지하였으나, 2, 3차 측정 시 날씨가 풀리면서 환기량을 늘려주어 PM2.5 농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사에서는 3회 측정 시 모두 NH3 농도가 계사의 중앙보다 끝(환기팬 근처)에서 높아 환기가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지 계사에서는 1차 측정 이전부터 환기량을 늘려주어 3차까지 유지시켰다. 그러나 케이지 계사에서 1회와 2회 측정 시에 중앙에서 측정한 NH3 농도가 환기팬 근처에서 측정한 값보다 높았다. Yao et al.(2017)에 의한 정상적인 환기 상태에서는 계사 내 환기팬과 가까울수록 PM 배출농도가 더 높다는 보고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환기가 불량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3차 측정 시에는 중앙보다 환기팬 근처에서 측정한 NH3 농도가 높아 환기가 정상인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PM(PM10, PM2.5) 농도도 감소된 것으로 보인다.

배출계수는 환경이 다른 세 가지 사육 형태의 PM 및 NH3 농도를 비교 가능하도록 산정한 것이다(Roumeliotis and Van Heyst, 2008). 배출계수는 배출량 농도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사의 끝(환기팬 근처)에서 측정된 농도를 이용한다. 본 연구의 배출계수는 Xin et al.(2011)이 조사한 산란계사의 배출계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평사와 Aviary 시스템의 PM(PM10, PM2.5) 배출계수는 케이지 시스템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NH3 배출계수는 반대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평사나 Aviary 계사에서는 닭의 활동성이 높아 분변이 깔짚과 섞이면서 깔짚에 NH3이 흡착되고, 이렇게 계사 내에 잔류하게 된 NH3는 PM2,5의 발생 원인이 되어 환기 시에 외부로 배출되는 PM 농도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Shen et al.(2018)은 PM10과 TSP 농도가 첫 사료 급여 시간인 07:00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24시간 동안 측정된 PM(PM10, PM2.5) 농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관리자가 사료를 주기 위해 출입하는 시간(AM 05:00∼06:00, AM 10:00∼12:00, PM 14:00∼16:00)에 높게 나타났으며, 닭들이 쉬는 시간인 22:00부터 04:00까지는 세 가지 사육형태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NH3 농도는 관리자의 출입과 관계없이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졌으며, 이는 계사 내부의 계분이나 깔짚 상태로 NH3 농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축사 및 계사에서 배출되는 대기 오염 물질은 주변 환경, 생태계 및 주변 지역에 사는 주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NRC, 2003). Shin et al.(2017)은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과 같은 에어로졸은 대기 중 체류시간이 약 15일 정도로 장기간 대기 중에 머무르면서 오염원이 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 평균 PM(PM10, PM2.5)과 NH3 농도를 살펴본 결과, 계사 내부에 비해 계사 주변에서 측정된 농도는 훨씬 낮았으며, ME(2021)에서 제시한 PM(PM10, PM2.5)의 정상 범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전의 연구들과는 다르게 계사에서 발생되는 PM(PM10, PM2.5)은 계사 주변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사 사

본 연구는 2021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전문연구원 과정 지원사업과 농촌진흥청의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 PJ01529103)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Becker A, Vanhooser S, Swartzlander J, Teeter R 2004 Atmospheric ammonia concentration effects on broiler growth and performance. J Appl Poult Res 13(1):5-9.

2.

Bonifacio HF, Maghirang RG, Trabue SL, McConnell LL, Pruegar JH, Bonifacio ER 2015 TSP, PM10, and PM2.5 emissions from a beef cattle feedlot using the flux-gradient technique. Atmos Environ 101:49-57.

3.

Cambra-López MA, Torres AG, Aarnink AJA, Ogink NWM 2011 Source analysis of fine and coarse particulate matter from livestock houses. Atmos Environ 45(3):694-707.

4.

David B, Mejdell C, Michel V, Moe RO 2015 Air quality in alternative housing systems may have an impact on laying hen welfare. Animals 5(3):886-896.

5.

Donham KJ, Scallon LJ, Popendorf W, Treuhaft MW, Roberts RC 1986 Characterization of dusts collected from swine confinement buildings. Am Ind Hyg Assoc J 47(7):404-410.

6.

Fabbri C, Valli L, Guarino M, Costa A, Mazzotta V 2007 Ammonia, methane, nitrous oxide and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from two different buildings for laying hens. Biosyst Eng 97(4):441-455.

7.

Hong EC, Kang BS, Kang HK, Jeon JJ, You AS, Kim HS, Son J, Kim HJ, Kim KY, Yun YS 2021a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ammonia emitted by breeding type of laying hen houses in winter. Kor J Poult Sci 48(1):23-30.

8.

Hong EC, Kang HK, Jeon JJ, You AS, Kim HS, Son JS, Kim HJ, Yun YS, Kang BS, Kim JH 2021b Studies on the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and ammonia gas from three laying hen rearing systems during the summer season. J Environ Sci Health B 56(8):753-760.

9.

Kassik A, Maasikmets M 2013 Concentrations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mmonia and carbon dioxide in large scale uninsulated loose housing cowsheds in Estonia. Biosyst Eng 114(3):223-231.

10.

Kearney GD, Shaw R, Prentice M, Tutor-Marcom R 2014 Evaluation of respiratory symptoms and respiratory protection behavior among poultry workers in small farming operations. J Agromed 19(2):162-170.

11.

Kristensen HH, Wathes C 2000 Ammonia and poultry welfare: a review. World’s Poult Sci J 56(3):235-245.

12.

Lee SH, Yun NK, Kim KW, Lee IB, Kim TI, Chang JT 2006 Study om ammonia emission characteristic of pig slurry. J Lives Hous & Env 12(1):7-12.

13.

MAFRA 2019 “By 2022, the emission of PM and NH3 on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sector will be reduced by 30%.” Announcement of measures to reduce PM in each agricultural and livestock sector.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4.

ME 2016 “You will see it right away. PM, what on earth is?” Ministry of Environment.

15.

ME 2021 Particulate Matter Detailed Measurement Inform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16.

Michiels A, Piepers S, Ulens T, Van Ransbeeck N, Sacristán RDP, Sierens A, Haesebrouck F, Demeyer P, Maes D 2015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and ammonia on average daily weight gain, mortality and lung lesions in pigs. Prev Vet Med 121(1-2):99-107.

17.

Miles D, Miller W, Branton S, Maslin W, Lott B 2006 Ocular responses to ammonia broiler chickens. Avian Dis 50(1):45-49.

18.

Mostafa E 2012 Air-Polluted with Particulate Matters from Livestock Buildings. Pages 287-312 in Air Quality-New Perspective. Intech, Winchester, England.

19.

Mostafa E, Nannen C, Henseler J, Diekmann B, Gates R, Buescher W 2016 Physical properties of particulate matter from animal houses-empirical studies to improve emission modelling. Environ Sci Pollut Res 23(12):12253-12263.

20.

Nemer M, Sikkeland LI, Kasem M, Kristensen P, Nijem K, Bjertness E, Skare Ø, Bakke B, Kongerud J, Skogstad M 2015 Airway inflammation and ammonia exposure among female Palestinian hairdressers: a crosspsectional study. Occup Environ Med 72(6):428-434.

21.

Puma M, Maghirang R, Hosni M, Hagen L 1999 Modeling of dust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a simulated swine room under non-isothermal conditions. T ASAE 42(6):1823-1832.

22.

Radon K, Weber C, Iversen M, Danuser B, Pedersen S, Nowak D 2001 Exposure assessment and lung function in pig and poultry farmers. Occup Environ Med 58(6):405-410.

23.

Robarge WP, Walker JT, McCulloch RB, Murray G 2002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ammonium at an agricultural site in the southeast United States. Atmos Environ 36(10):1661-1674.

24.

Roumeliotis TS, Van Heyst BJ 2007 Size fractionated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from a broiler house in Southern Ontario. Canada. Sci Total Environ 383(1-3):174-182.

25.

Shen D, Wu S, Dai PY, Li YS, Li CM 2018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ammoni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a layer house. Poult Sci 97(12):4137-4149.

26.

Shepherd TA, Xin H, Stinn JP, Hayes MD, Zhao Y, Li H 2017 Ammonia carbon dioxide emissions of three laying hen housing systems as affected by manure accumulation time. Trans ASABE 60(1):229-236.

27.

Shepherd TA, Zhao Y, Li H, Stinn JP, Hayes MD, Xin H 2015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ree egg production systems - Part II: Ammonia, greenhouse gas, and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Poult Sci 94(3):534-543.

28.

Shin DW, Joo H, Seo E, Kim CY 2017 Management strategies to reduce PM-2.5 emissions: Emphasis-ammoni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port No.: WP 2017-09.

29.

Takai H, Pedersen S, Johnsen JO, Metz J, Koerkamp PG, Uenk G, Phillips V, Holden M, Sneath R, Short J 1998 Concentrations and emissions of airborne dust in livestock buildings in Northern Europe. J Argic Eng Res 70(1):59-77.

30.

Xin H, Gates RS, Green AR, Miloehner FM, Moore Jr PA, Wathes CM 2011 Environmental impacts and substantiality of egg production system. Poult Sci 90(1):263-277.

31.

Yang W, Guo M, Liu G, Yu G, Wang P, Wang H, Chai T 2018 Detection and analysis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microbial aerosol in chicken houses in Shandong province, China. Poult Sci 97(3):995-1005.

32.

Zhao Y, Shepherd TA, Li H, Xin H 2015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ree egg production systems - Part I: Monitoring system and indoor air quality. Poult Sci 94(3):518-533.